신문을 읽으며 얻은 몇 가지 투자 아이디어.

WSJ, 한경, 매경을 읽으면서 얻은 몇 가지 아이디어를 요약하고 싶습니다. 미국의 화장품 관세는 한국에만 적용되는 걸까요?

엘프뷰티는 고품질의 화장품과 스킨케어 제품을 주로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미국 화장품 브랜드 회사입니다(포지셔닝은 한국 제품과 유사합니다). 회사 생산의 약 80%는 여전히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상쇄하기 위해 일부 제품의 가격을 1달러 인상했습니다. 관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상실 문제는 비단 한국 화장품 회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화장품 회사가 겪는 공통적인 문제가 아닐까요? 가격 인상으로 인한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단순히 관세로 인한 경쟁력 약화로만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은 트럼프 하에서 관세에 대한 플레이북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격 인상도 포함돼 있다. 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60% 관세를 부과하고, 수입품에 대해서도 전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제안했다.www.wsj.com

트럼프 행정부, AI·빅테크 규제 완화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와 달리 AI와 빅테크 규제완화에 확실히 적극적이다. 이는 데이터센터 구축 증가와 이에 따른 에너지(원자력발전소)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내년 1월 취임 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인공지능(AI) 행정명령을 즉각 폐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현대건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약 1조원 규모 송전설비 수주

사우디는 엑스포를 비롯한 여러 국제 스포츠 행사를 유치할 계획으로 건설 및 인프라 투자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건설, 사우디 ‘1조 대박’… 현대건설이 차세대 송전기술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조원 규모 초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국내 건설사 해외 전력망 사업 진출 후…plus.hankyung.com

그리고 (규모가 축소된 것 같긴 하지만) 한동안 잊혀졌던 네옴시티를 생각해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수주에 대한 기대감은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체된 원유가격은 변수이지만, 경기 호황이 오면 한 번쯤은 다시 불붙을 것이다. 가치있는 주제가 될 것 같아요. HDC, 서울원.

일본의 개발자 모델을 차용한 HDC의 서울원 개발이 이제 착공에 들어갑니다. 간선도로 지하화 등 앞으로도 기대되는 요소가 많아 강북의 핵심지역이 될 것으로 봅니다.

40년 만에 ‘하늘과 땅의 변화’…동네 시멘트공장 물류기지로 쓰였던 지하철 1호선 광운대역 철로부지가 국내 최초로 49층 랜드마크로 변신한다. 40년. 대형아파트 포함 5성급…plus.hankyung.com

공사가 시작되고 서서히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HDC의 실적 수준도 변화하기 시작할 것이다. 현재 서울 부동산이 한동안 정체되고 있지만 신축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미분양에 대한 우려는 낮다고 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 분명해질 것이기 때문에 현재 주가의 흐름을 지켜보며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군함사업을 꾸준히 수주하고 있습니다.

미국 존스법으로 인해 해외에서 군함을 제작할 수 없지만, 한화는 필라델피아 조선소 덕분에 가능하다. 어쨌든, MRO로 시작된 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한화해양, 미 군함 MRO 사업 또 수주 – 매일경제 3개월 만에 7함대 추가 수주 트럼프도 한국 조선업계에 러브콜 방산 르네상스 기대감 커져 www.mk.co.kr

#미국화장품 #관세 #화장품산업 #중국생산 #트럼프정책 #AI규제완화 #빅테크 #데이터센터 #원자력발전소 #현대건설 #사우디수주 #엑스포 #국제행사 #네옴시티 #원유가격 #HDC # 서울원 #개발자 #강북개발 #미분양우려 #군함사업 #한화 #K디펜스 #존스액트 #필리조선소 #방산 수출